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성격에 대하여

by 다시또 2024. 12. 27.

성격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려고 여러 학파들이 노력하여 왔고, 또 그에 관해 많은 이론이 깊이 논의되어 왔습니다. 여기에는 개인의 자유의지와 경험의 역할을 강조하는 인본주의적 이론도 있고, 삶의 초기 경험과 무의식을 강조하는 정신분석적 이론도 있고, 개인 그리고 그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성격의 발달을 이끈다고 주장하는 행동 이론도 있고, 또 사람들 사이의 차이를 강조하는 특질이론도 있습니다. 이러한 여러 이론 중 특질 이론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특질 이론(trait theories)에서는 성격은 어떤 사람이 특별한 방식으로 행동하게 만드는 특징들의 결합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특징들을 특질이라 지칭하고, 그동안 연구된 몇가지 주요 특질이론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올포트의 특질 이론

미국의 심리학자 고든 올포트가 1936년 개발한 특질 이론은 성격적 특징을 묘사할 것 같은 단어들을 모두 아내어 4500개가 넘는 단어목록을 밑바탕으로 이 특질들을 3가지 범주로 분류했습니다.

 

주 특질(cardinal traits) : 개인의 전체 성격을 통제하고 정의하는 특질로 이 유형들은 종종 그 개인 자체와 동일해지므로 따라서 보기 매우 드뭅니다. 예수 그리스도 같은 특질, 나르시시스트 같은 특질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중심 특질(central traits) : 흔하게 접할 수 있는 특질로 다정, 정직, 친절 등이 포함됩니다.

 

 이차적 특질(secondary traits) : 특정 조건과 상황에서 나타나는 특질로 예를 들면 대중 앞에서 연설하기 전에 신경이 예민해지는 현상이 이에 포함됩니다.

 

케텔의 16가지 성격요인들

레이먼드 케텔은 고든 올포트의 이론을 다듬어 4500여개의 항목으로 된 올포트의 성격 특질 목록에서 서로 비슷한 특질을 묶고, 흔하지 않은 특질들을 지우는 방법을 통해 171개의 특질로 압축했습니다. 그런 다음 이 특질들을 이용해 설문지를 만들고 대규모 표본을 바탕으로 테스트를 실시했습니다. 이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이라는 통적 절차를 이용해 주요 성격 특질의 숫자를 더 줄여 최종적으로 16가지 성격 특질이 모든 성격의 원천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모든 개인은 이 특질들은 어느 정도는 다 갖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 16가지 성격 특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서적 안정 : 차분한가, 아니면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극도로 긴장하는가?

활력: 열정적이고 자발적인가, 아니면 자제하고 진지한가?

변화 수용성 : 유연하고 공개적인가, 아니면 익숙한 것에 고착하는가?

완벽성 : 자제력 있고 통제력을 발휘하는가, 아니면 규율이 없고 우유부단한가?

개인성 : 신중하고 빈틈없는가, 아니면 공개적이고 꾸밈이 없는가?

추상성 : 상상력이 풍부하고 추상적인가, 아니면 근거를 중요시하고 실용적인가?

지배 : 강제적이고 단언적인가, 아니면 복종적이고 종속적인가?

염려 : 걱정하고 불안해하는가, 아니면 자신감 넘치고 불안해하지 않는가?

추리 : 추상적으로 생각하고 지적인가, 아니면 구체적으로 생각하고 덜 지적인가?

규칙 자각 : 양심적이고 규칙을 준수하는가, 아니면 규칙을 준수하지 않고 무시하는가?

자주성 : 자부심이 강하고 개인주의적인가, 아니면 남에게 의존하는가?

감수성 : 다정다감하고 따뜻한 마음의 소유자인가, 아니면 다정하지 못하고 거친 마음의 소유자인가?

사회적 대담성 : 기가 살아 있고 모험적인가, 아니면 수줍어하고 소심한가?

긴장 : 인내하지 못하고 좌절하는가, 아니면 편안한 마을을 갖고 평온을 지키는가?

온정 : 밖에서 사람들에게 관심을 쏟는가, 아니면 사람들을 서먹해하며 거리를 두는가?

경계 : 의심하고 회의적인가, 아니면 신뢰하고 받아들이는가?

 

아이젠크의 3가지 특질

한스 아이젠크는 1947년 성격 모델을 발표했고 1970년대 말 이 모델을 다시 다듬어 모든 사람은 3가지 보편적인 특질을 공유하고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내향성 vs 외향성 : 내향성은 사람이 관심을 내면의 경험으로 돌리는 것을 말하고 그 결과 그 사람은 조용하고 말수가 적음. 외향성은 관심을 주변의 사람과 환경으로 돌리는 것을 말함

신경성 vs 정서적 안정성 : 신경성은 어떤 사람이 감정적으 되거나 흥분하는 경향을 말하고 정서적 안정성은 정서적으로 안정을 지키는 능력을 말함

정신병적 경향성 : 정신병적 경향성이 높은 개인은 적대적이고, 반사회적이고, 조작적이고, 냉담한 성향을 갖고 있음

 

5가지 성격  특질 요소 

오늘날 성격 이론가들은 '5가지 성격 특질 (big five personality traits)'로 이루어진 이론에 치중하고 성격의 바탕은 다음의 4가지 주요한 특질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된다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외향성 : 사교성의 수준

친화성 : 다정, 애착, 신뢰 등 긍정적 사회적 행동 수준

성실성 : 조직화와 배려심, 충동 통제 수준

신경성 : 정서적 안정 수준

개방성 : 상상력과 창의성 관심의 폭 수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