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학습 이론
심리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습 이론 중 하나인 앨버트 밴듀라의 사회적 학습 이론(1977)은 행동주의가 주장하는 것과 달리 모든 행동이 보상이나 강화에 의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습니다. 대신 대안적인 그리고 다소 미묘한 사회적 압력이라는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사회적 압력이 행동을 배우게 한다는 것입니다. 밴듀라는 사람들이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그것을 근거로 처신하는 방법을 배운다고 강조합니다.
사람들은 관찰할 수 있 모델들로 있습니다. 부모와 선생, 또래, 심지어 TV 프로그램의 등장인물도 그런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인물들은 관찰되거나 각인되었다가 나중에 모방할 수 있는 남녀 행동의 모델을 제공합니다. 사람은 자신과 비슷하다고 느끼는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종종 모델은 동성의 사람을 의미합니다. 밴듀라의 사회적 학습 이론에는 3가지 중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1. 사람은 관찰을 통해 행동을 배울 수 있다 : 살아 있는 모델(실제로 행동을 하는 사람)이나 지시하는 언어적 모델(구체적인 행동에 대한 설명 또는 묘사) 또는 상징적 모델(책이나 TV, 영화에서 그려지는 행동)을 통해서 학습됩니다.
2. 심적 상태도 학습에 중요한 한 요소이다 : 환경적 강화가 행동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측면이긴 하지만 그것이 유일한 것은 아닙니다. 만족감, 성취감, 긍지 등은 밴듀라가 내적 강화라고 부르는 것들의 예입니다. 다시 말해서 내적 생각들이 행동의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3. 학습이 반드시 어떤 행동의 변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 행동주의자들은 행동을 배우면 개인의 행동에 영원한 변화가 나타난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밴듀라는 관찰 학습을 통하면 사람이 그런 행동을 하지 않고도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반대로, 어떤 행동이 관찰된다고 해서 그것이 배워진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사회적 학습이 성공을 거두려면 주의, 보유, 재현, 동기부여의 몇 가지 요건이 갖춰져야 합니다.
주의 : 학습을 위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주의를 게을리하게 하는 모든 것은 관찰 학습에 부정적으로 작용합니다.
보유 : 정보를 저장하고 나중에 끄집어내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재현 : 주의를 쏟고 정보를 보유한 다음에 관찰된 행동이 실천되어야 합니다. 실천은 곧 행동의 개선으로 이어집니다.
동기부여 : 관찰된 행동을 성공적으로 배우는 데 필요한 마지막 부분은 그 행동을 모방하도록 동기부여를 받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강화와 처벌이 개입되는 부분이 바로 이 부분입니다. 만약 관찰된 행동이 강화된다면 사람은 그 반응을 되풀이하려 할 것입니다. 반면에 관찰된 행동이처벌받는다면 사람은 그 행동을 하지 않는 쪽을 택할 것입니다.
보보 인형 실험
아이들이 주변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한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밴라는 그 유명한 보보 인형 실험을 고안했습니다. 실험을 실시하면서 밴듀라는 공격적 성향의 모델을 보았던 아이들이 대조집단이나 비공격적 성향의 모델을 보았던 집단의 아이들에 비해서 보보 인형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또한 공격적 성향의 모델을 보았던 소녀들이 모델이 여자일 때는 언어적으로 보다 공격적인 반응 보이고, 모델이 남자일 때는 육체적으로 더 공격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소년들은 소녀들보다 육체적으로 더 공격적인 행동을 모방했으며 또 동성의 모델을 더 많이 모방했습니다.
보보 인형 실험을 통해서, 밴듀라는 아이들이 다른 누군가의 행동을 봄으로써 사회적 행동을 배운다는 점을 성공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보보 인형 실험을 제시함으로써 모든 행동은 보상과 강화의 결과라는 행동주의의 주장에 반대하는 중요 주장을 제시할 수 있었습니다.
보보 인형 실험 방법
1. 3세에서 6세 사이의 소년과 소녀 각각 36명을 동원합니다.
2. 실험을 위한 대조집단은 12명의 소년과 12명의 소녀로 이루어집니다.
3. 실험 속의 롤모델은 성인 남자 1명과 성인 여자 1명입니다.
4. 24명의 소년과 소녀에게 남자 또는 여자가 "보보 인형"이라 불리는 장난감을 폭력적으로 공격하는 것을 보게 합니다. 특히 이 남자와 여자는 해머로 장난감을 치거나 공중으로 던집니다. 그러면서 "탕탕" 이라거나 " 코를 박살을 내고 말 거야."라는 식으로 소리를 지릅니다.
5. 24명의 소년과 소녀로 구성된 또다른 집단은 보보 인형에게 전혀 공격성을 보이지 않는 모델에 노출합니다.
6. 최종적으로 대조집단은 어떤 모델에도 노출하지 않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 심리학 - 기억, 인지 부조화 이론 (0) | 2025.01.06 |
---|---|
인지 심리학- 주의, 문제해결 (0) | 2025.01.02 |
성격에 대하여 (0) | 2024.12.27 |
사랑에 대하여 (0) | 2024.12.25 |
댓글